Search

News&Notice

보도자료

정유업계, '22년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액 280억 달러, 상,하반기 통틀어 역대 최대치 기록
  • 작성일2022/07/26 11:06
  • 조회 2,040
ICON
정유업계, '22년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액 280억 달러, 
상,하반기 통틀어 역대 최대치 기록

- 석유제품, 국가 주요수출품목 2위 등극, 수출경쟁력 확대에 크게 기여 - 
- 고유가 시기 원유도입액의 61%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 - 


상반기 정유업계 수출액이 약 280억 달러로 집계돼, 반기 사상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 주요수출품목 중 반도체 다음으로 2위에 올라서며, 수출산업으로서 국가 경제와 수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국내 정유4사의 올해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액이 279억 5천6백만 달러로(전년동기 대비 97.6% 증가), ‘12년 이후 10년만에 최고치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특히, 이는 같은 기간 460억 달러에 달하는 원유도입액중 약 61%를 수출로 회수한 셈이어서,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정유업계는 '12년 상반기 255억 달러, 하반기 277억 달러를 기록, 국가 수출품목중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상반기 수출액은 역대 상,하반기를 통틀어 최고치로,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출단가 상승과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회복 및 석유수요 증가에 맞춰 가동률을 높이는 등 적극 대응하여 석유제품 공급이 부족한 호주, 필리핀 등의 국가에 전략적으로 수출물량을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단가는 전년동기 대비 75% 증가한 배럴당 126.6 달러, 수출물량은 2억2,090만 배럴로 같은 기간 13% 늘었다. 특히, 경유 수출단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 불안으로 인해 135.2 달러를 기록했고, 항공유는 글로벌 항공수요 증가로 수출액이 171.3%, 수출량은 40% 늘어 주요 석유제품 중 수출액 및 물량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항공유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조사되었고, 실제로 지난 달 미국교통안전청(TSA)이 발표한 상반기 미국 공항 이용객수는 3억 5,695만명(전년동기 대비 51.3%↑)으로 집계되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글로벌 정제마진 개선에 따라 배럴당 24.8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해, 상반기 경영실적 호실적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석유제품 수출액 기준 Top5 국가는 호주(16.2%), 싱가포르(12.2%), 미국(9.3%), 필리핀(9.0%), 중국(8.6%) 순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지난해까지 최대 수출 대상국이었으나, 작년 6월 이후 중국 정부가 경순환유(LCO)에 소비세를 부과한데다, 올 상반기 상하이 봉쇄조치 장기화 등에 따라 중국내 석유수요가 감소한 여파로 대중국 수출이 급감했다. 

반면 호주는 지난해 동기간 5위에서 단숨에 최대 수출대상국으로 올라섰다. 이는 ’20, ‘21년에 호주내 전체 정제설비 중 50%가 폐쇄돼 당분간 석유제품 수입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국내 정유사가 전략적으로 호주향 수출을 늘려 나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필리핀의 경우 전년동기 8위에서 금년에 4위로 순위가 껑충 뛰었고 수출액은 25억 달러로 433%나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필리핀이 러시아로부터 도입하던 경유 등의 유류가 최근 러시아 제재 등으로 도입이 어려워져 수입선을 국내 정유사로 대체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호조는, 글로벌 공급 부족에도 불구하고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수요감소, 정제마진 축소 및 유가 하락으로, 지속 여부를 낙관하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정유업계는 고유가와 전 세계적인 석유수급 불안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제품 공급으로 국내 수급안정에 기여할 뿐 아니라 수익성이 높은 해외시장에도 적극 수출하여 우리나라 석유산업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며, “하반기는 세계 경기침체 및 코로나 재확산 등 수출시장 불확실성 요소가 상반기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나, 정유업계는 우수한 정제역량을 바탕으로 계속적인 고품질 제품 생산 및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


태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보다 빠르게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