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고유가 고통분담, 일천억 특별기금 조성”
- 정유업계 공동 선언문 발표 -
정유업계가 고유가 시대 고통분담을 위해 앞으로 일천 억 원의 특별기금을 조성, 에너지 소외계층 지원과 에너지 효율 제고, 에너지 절약 운동을 위해 쓰겠다고 밝혔다.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대한석유협회 4개 회원사는 7월 18일(금) 메리어트 호텔에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고유가 고통분담을 위해, 정유 4사가 사별로 진행하고 있는 사회공헌과는 별도로, 일천 억 원의 특별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 3년간 고도화 설비 확충 등에 4조 원을 투자한 데 이어 앞으로도 5년간 원유 정제시설인 고도화 설비 등에 10조 원을 집중 투자하고, 명실상부한 에너지 수출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과 신헌철 SK에너지 대표이사 부회장, 허동수 GS칼텍스 대표이사 회장, 아흐메드 에이 수베이 S-OIL 대표이사, 서영태 현대오일뱅크 대표이사, 김생기 대한석유협회장 등 정유업계 대표가 참석하였다. 정유업계가 발표한 「고유가 고통분담을 위한 정유업계 공동선언문」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고유가 고통분담을 위한 정유업계 공동선언문
고유가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유가는 지난해 10월 이후 두 배 이상 올랐습니다. 세계 경제도 어려워졌고, 우리 국민들과 기업들의 고통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유업계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출과 투자, 석유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석유제품은 지난 3년간 국가 수출품목 중에서 5위를 차지했으며, 지난 6월에는 자동차, 반도체를 추월하여 1위에 올라섰습니다. 지난 3년간 고도화 시설에 약 4조원을 투자해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습니다.
하지만 눈 앞에 놓인 고유가 상황 때문에 많은 에너지 소외계층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사회 각계에서 고통분담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제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갖가지 방안들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유업계는 이런 우리 사회의 실천적 노력에 미약하나마 힘을 보태고자 업계 공동의 특별기금 조성계획을 발표합니다.
一. 우리는 앞으로 일천억 원의 특별 기금을 조성하여 에너지 소외계층 지원과 에너지 효율 제고, 에너지 절약 운동에 쓰겠습니다.
一. 특별기금의 운용 주체, 방법, 사용처는 향후 업계가 긴밀히 협의해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고, 기금의 조성과정과 집행 내역은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우리는 무엇보다 에너지 수출기업으로서 더욱 노력할 것입니다. 석유제품이 올해 수출품목 1위가 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입니다. 향후 5년간 10조원을 고도화 설비 등에 집중 투자해 국가경쟁력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지난 역사가 증명하듯 우리 국민은 어려울 때면 더 힘을 모아 온갖 위기를 극복해 왔습니다. 정부·기업·가계 모두 너나 할 것 없이 한데 힘을 모은다면 지금의 이 위기도 반드시 극복해 낼 것입니다. 우리의 오늘 결의가 고유가로 고통 받는 국민 여러분께 작은 희망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008년 7월 18일
정유 4社 대표이사 일동
참고자료 : 석유수출 기여도 등
1. 석유수출 산업화
▷ 석유, 국가 주요 수출품목 중 5위
○ 2005년 이후 3년간 5위 유지, 2008년 5월 2위, 6월 1위로 상승
【표】 국가 주요 수출품목 추이
(단위:백만$) | ||||||
2006년 | 2007년 | 2008년 6월 | ||||
품목 | 금액 | 품목 | 금액 | 품목 | 금액 | |
1위 | 반도체 | 37,360 | 반도체 | 39,045 | 석유제품 | 4,048 |
2위 | 자동차 | 32,922 | 자동차 | 37,284 | 자동차 | 3,349 |
3위 | 무선통신기기 | 27,018 | 무선통신기기 | 30,458 | 반도체 | 3,260 |
4위 | 선박류 | 22,123 | 선박류 | 27,777 | 일반기계 | 3,207 |
5위 | 석유제품 | 20,404 | 석유제품 | 23,966 | 선박류 | 2,938 |
6위 | 컴퓨터 | 12,576 | 평판디스플레이 | 16,929 | 석유화학 | 2,909 |
7위 | 평판디스플레이 | 12,388 | 컴퓨터 | 13,808 | 무선통신기기 | 2,904 |
8위 | 합성수지 | 11,177 | 합성수지 | 13,000 | 철강제품 | 2,633 |
9위 | 철강판 | 10,997 | 자동차부품 | 12,436 | 액정디바이스 | 1,967 |
10위 | 자동차부품 | 10,230 | 철강판 | 12,375 | 자동차 부품 | 1,216 |
자료 : 한국무역협회, 지식경제부 |
▷ 수출비중 50% 초과
○ 정유업, 내수위주 산업에서 수출산업으로 급속 전환중
【표】 정유업계 매출액중 수출비중 추이
(단위 : 백억원,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국내 (내수) | 2,803 | 2,504 | 2,490 | 2,584 | 3,108 | 3,452 | 3,697 |
해외 (수출) | 1,463 | 1,335 | 1,471 | 2,401 | 2,995 | 3,600 | 4,242 |
기타 | 24 | 30 | 44 | 82 | 83 | 12 | 15 |
합계 | 4,290 | 3,869 | 4,004 | 5,067 | 6,186 | 7,064 | 7,952 |
수출비중 | 34.1% | 34.5% | 36.7% | 47.4% | 48.4% | 51.0% | 53.3% |
주 : 1. 각 사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기준 합계임
2. 매출액은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제품, 석유개발 등이 포함된 전체 매출임
▷ 국가 총수출액중 석유제품 수출액 비중 대폭 상승
○ 석유제품 수출액 비중, 1991년 1.9% → 2007년 6.3%로 17년간 3.3배 상승
▷ 국내총생산(GDP) 기여도 지속 증대
○ 석유 수출액의 GDP 비중, 1991년 대비 2007년, 3.4배 증가
○ 국내총생산 중 정유업계 매출액 비중, 1991년 4.8% → 2007년 8.8%
【표】 총수출액중 석유제품 수출액 및 GDP중 정유사 매출액 추이
석유수출액 | 국가 총수출액 | 비중(%) | 정유업계 (C) | GDP (D) | 비중(%) | 수출비중 | |
(A) (백만$) | (B) (백만$) | (A/B) | 매출액 (억원) | (억원) | (C/D) | (A/D)*1만 | |
`91 | 1,340 | 71,870 | 1.9% | 107,859 | 2,260,076 | 4.8% | 6 |
`94 | 1,596 | 96,013 | 1.7% | 152,656 | 3,402,083 | 4.5% | 5 |
`97 | 5,232 | 136,164 | 3.8% | 294,264 | 4,911,348 | 6.0% | 11 |
`00 | 9,381 | 172,268 | 5.4% | 434,931 | 5,786,645 | 7.5% | 16 |
`03 | 6,653 | 193,817 | 3.4% | 400,382 | 7,246,750 | 5.5% | 9 |
`04 | 10,173 | 253,845 | 4.0% | 506,736 | 7,793,805 | 6.5% | 13 |
`05 | 15,364 | 284,419 | 5.4% | 618,597 | 8,105,159 | 7.6% | 19 |
`06 | 20,602 | 325,465 | 6.3% | 706,444 | 8,480,446 | 8.3% | 24 |
`07 | 23,481 | 371,489 | 6.3% | 795,533 | 9,011,886 | 8.8% | 26 |
자료 : 한국은행, 한국무역협회, 한국석유공사, 금융감독원 |
▷ 국가 무역수지 개선
○ ‘07년 원유 수입액의 약 40%를 석유제품 수출로 벌여 들여 국가 무역수지 개선 기여
`03 | `04 | `05 | `06 | `07 | `08.1-5 | |
원유 수입액 (억$) | 221.1 | 284.8 | 412.7 | 542.9 | 592.0 | 352.3 |
석유제품 수출액 (억$) | 66.5 | 101.7 | 153.6 | 206.0 | 234.0 | 140.1 |
수출액 비중 (%) | 30.1% | 35.7% | 37.2% | 37.9% | 39.5% | 39.8% |
주 : 1. 한국석유공사 자료로 수출은 석유제품만 포함된 것임
2. 투자활성화 기여
▷ 향후 5년간 10조원 투자계획
○ 중질유 분해 탈황시설 및 석유화학제품생산 투자 총 10조원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