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정보자료실

전문가칼럼

미세먼지, 중국발 요인은 어느정도일까 / 정진상 책임연구원
  • 작성일2019/02/14 00:00
  • 조회 605
ICON

미세먼지중국발 요인은 어느 정도일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진상 책임연구원 

 

 

▷ 국내 미세먼지 연구 동향

 

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10 ㎛ 미만일 경우 미세먼지(PM10)’, 2.5 ㎛ 미만일 경우 미세먼지(PM2.5)’라고 정의된다미세먼지(PM2.5)의 주요 화학조성은 황산염질산염암모늄유기입자 그리고 검댕이다미세먼지는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PC)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미세먼지는 흙해염식물 등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화석연료의 연소를 통해 인위적으로 생성된다아래 그림 1은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국내 주요 도시와 교외지역에서 측정된 대기오염물질의 평균 농도이다미세먼지(PM10농도의 경우 도심지역인 대전과 서울이 교외지역들보다 소폭 높게 나타났지만차이는 크지가 않았다미세먼지(PM2.5농도의 경우 도시지역과 교외지역이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교외지역인 평창의 경우 대전 도심보다도 높은 농도가 나타났다이에 비해 자동차공단난방 등으로부터 주로 배출되는 이산화질소의 경우 도심지역의 농도가 교외지역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도심과 교외지역 농도 비교결과로부터 미세먼지가 깨끗한 시골에서 산다.’라는 말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

 

 

 

 

그림 1국내 주요 도시 및 교외지역에서 2018년 1월에서 3월까지 측정된 미세먼지(PM10), 미세먼지(PM2.5),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비교 (출처환경부) 

 

최근에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여름철을 제외하고 모든 계절에 걸쳐 빈번하게 발생하여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정부에서는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를 통해 과학적인 원인 규명 및 대응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또한 환경부는 미국 연구진과 공동으로 국내 미세먼지 현황 파악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다고농도 미세먼지의 경우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된 미세먼지가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지만 실제 과학적으로 입증이 가능한지그리고 얼마나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량적인 연구결과가 부족한 실정이다한국과 중국 모두 산업이나 농업의 성격이 비슷해 대기에 유사한 물질들을 배출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화학조성만 분석해서는 중국산인지 국내산인지 구별하기가 힘들다위성영상 분석이나 대기질 모델링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위성영상은 대기의 흐름을 거시적으로만 제공하고대기질 모델링은 실제 관측치와 오차가 커 정확도가 부족하다다행이 최근에 Jung (2018)은 폭죽에서 배출된 지시물질인 칼륨을 분석하여 중국 춘절기간 동안 폭죽 등으로부터 발생한 미세먼지(PM2.5)가 한반도까지 날아왔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렇다면 왜 최근에 동북아시아 지역에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또 오래 지속되는가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미세먼지 고농도 사례는 풍향 및 풍속과 같은 기상요소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바람이 낮은 속도로 불거나 대기가 정체되면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고농도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며칠씩 지속되게 된다. Zou (2017)은 북극 지역의 얼음이 녹아 없어진 것과 대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Chang (2016)은 2015년에 엘리뇨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중국 동부지역에 바람이 감소하여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을 유발하였음을 규명하였다이로 미루어 볼 때 최근의 동북아시아 고농도 미세먼지는 기후변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중국 미세먼지 현황 및 국내에 미치는 영향

 

중국은 시진핑 정부가 2013년 경 부터 대기오염 종합대책을 정부 주도형으로 매우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이로 인해 중국의 대기질은 최근 3-4년 사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Song 등 (2017)이 발표한 논문을 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 전체 미세먼지(PM2.5)농도는 65.8 μg/m3, 55.0 μg/m3, 50.7 μg/m3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미세먼지(PM2.5중 질산염과 황산염은 각각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황 가스로부터 이차 생성되어 만들어진다이산화질소의 경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9.6 μg/m3, 33.3 μg/m3, 33.4 μg/m3로 변화가 적었다반면 이산화황의 경우 2014년부터 34.1 μg/m3, 26.0 μg/m3, 21.9 μg/m3로 급격히 농도가 감소하였다이산화황이 주로 석탄연소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중국 전역에 미세먼지(PM2.5)의 농도가 최근에 줄어든 원인은 석탄 규제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반면 자동차에서 주로 배출되는 이산화질소는 2014년에서 2016년 사이 큰 변화가 없었다이로부터 향후 중국에서 미세먼지(PM2.5)를 추가로 줄이기 위해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국에서의 스모그 발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지형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아래 그림 2()는 해발고도에 따른 중국지형 분포를 나타낸다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국의 동부지역은 상대적으로 지형이 낮지만 서쪽 방향으로는 높은 산맥이 위치하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동풍이나 동남풍이 약하게 불거나대기가 정체 시 중국 동부지역에 스모그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여기서 생성된 스모그는 장거리 이동하여 중국 동부지역 모든 도시들에게 영향을 준다또한 중국 동부지역에 만들어진 고농도 스모그는 기류가 동쪽으로 바뀔 때 한반도로 이동하여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림 2.(해발고도에 따른 중국지형 분포와 () 2014 1 17일 중국발 스모그의 한반도 유입사례 

(출처https://www.mappi.net/chine-relief.jpg, NASA Worldview)

 

 

 위 그림 2() 2014 1월 중순경에 중국 동부지역에 고농도 스모그가 만들어진 후 기류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준 사례를 나타낸다. 2014 1 17일의 위성영상을 보면 중국의 동부지역에서부터 황해한반도에 걸쳐 넓게 회색 스모그 띠가 걸쳐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ung  (2017)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대전지역 미세먼지(PM2.5농도가 최대 145 μg/m3까지 높아졌고평균 120 μg/m3을 나타내었다현재 미세먼지(PM2.5나쁨 수준이 35 μg/m3이니 나쁨 기준보다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중국발 오염물질이 장거리 이동하여 한반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느냐는 모델 모사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2014 2월 말경 (23-27)에 한반도 전역이 중국발 미세먼지의 유입으로 고농도 사례가 발생하였다이 기간 동안 서울지역 미세먼지(PM10)과 미세먼지(PM2.5)의 평균 농도는 약 138 μg/m3 122 μg/m3을 나타내었다. Kim  (2017)이 모델 모사를 이용해 외부 기여량을 산출한 결과에 따르면이 기간 동안 미세먼지(PM2.5)의 경우 21 %가 국내의 영향이고나머지 79 %가 중국 등 국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화학 조성별로 살펴보면 황산염의 경우 이 기간 동안 거의 대부분이 중국 등 외부 유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비해 질산염과 암모늄의 경우 국내 기여량이 각각 15 % 26 %이고나머지는 국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만 한정해서 살펴보면 중국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한반도에 유입될 때 질산염과 암모늄을 만드는 질소산화물과 암모니아의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미세먼지 태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보다 빠르게 만나보세요.